Search

반도체, 가격하락에 재고부담까지 '이중고' - 동아경제신문

kyentun.blogspot.com

D램 공급 과잉 ‘가격하락’

화웨이 제재 등 ‘첩첩산중’

우리 수출을 견인하고 있는 반도체 시장에 부정적 전망이 확산되고 있다. 코로나19의 전세계적인 확산이 지속되는 가운데 미국의 중국 화웨이 제재 강화 등으로 불확실성이 커진 탓이다.

업계에 의하면 미국의 낸드플래시 제조사 웨스턴 디지털은 올 3분기 매출 예상액을 37억∼39억달러로 잡았다. 이는 시장 예상 전망치인 44억달러보다 크게 낮은 수치다. 이는 시장이 내놓은 전망보다 회사가 보는 실적 전망이 더 나쁘다는 의미다. 미국의 D램 업체 마이크론도 이달부터 오는 11월까지 매출이 당초 회사의 매출 예상액을 밑돌 것이라고 최근 진행한 콘퍼런스(투자 설명회)에서 밝혔다.

여기에 대만의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기업 TSMC가 발표한 지난 7월 매출은 전월 대비 12.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제재로 중국 화웨이 물량 감소 영향까지 작용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대만의 D램 공급사인 난야테크의 지난달 매출 역시 7.8% 하락했다. 원인은 올 하반기 들어 서버용 D램 등 기업 고객의 수요가 당초 예상보다 더 감소한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서버용 D램은 지난 상반기 코로나19로 클라우드 업체들의 서버 증설이 이어지면서 전년대비 회복세를 보였다. 하지만,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서버 업체들의 선주문으로 재고가 쌓이고, 수요 감소로 하반기 들어 D램과 낸드 등 메모리 반도체 가격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업계에 의하면 지난달 말 발표된 전월대비 서버용 D램 계약가격은 16기가바이트(GB)의 경우 4.17% 하락했으며, 32GB 서버 D램 계약 가격은 4.48% 내렸다. 이같은 서버용 D램가 하락은 이미 예측되고 있었다. 관련업계에 의하면 DDR4 8기가비트(Gb) D램 제품의 현물가격은 지난 4월초 3.6달러대를 나타낸 이후 최근 2.6달러 수준까지 떨어지며 약세가 지속되고 있다. 특히 지난달에만 3% 이상 가격이 떨어졌는데, D램 현물가격의 움직임은 D램 계약가격을 선행하는 경향이 있어 이같은 관측이 나온 것이다. 

이와 관련 대만의 시장조사업체 디램익스체인지와 트렌드포스는 올해 3분기 모바일 D램 가격이 2분기보다 3∼8%가량 하락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특히 미국은 최근 화웨이에 대한 추가 제재를 단행하며 규제 대상을 화웨이가 설계한 것뿐 아니라 전체 반도체로 광범위하게 확대했는데 이는 반도체 시장에 부정적 영향이 크다. 우선 국내 업체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최대 고객 중 한 곳인 화웨이에 대한 납품이 어려워질 수 있다. 게다가 트렌드포스는 “D램 수요 감소는 다른 반도체 제품의 가격 하락에도 동시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스마트폰 판매량 감소도 우려되는 부분이다. 클라우드 기업들의 서버용 D램 재고가 충분한 상황에서 서버와 함께 D램의 양대 수요처인 모바일(스마트폰) 수요가 저조하면 전체 반도체 시장에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것이 업계의 전망이다.

디램익스체인지 조사 기준, 타입별 D램 공급량(용량) 비중은 지난해말 기준으로 모바일이 41%로 가장 높다. 그 다음이 서버용(32.2%)이고, PC 13.4%, 컨슈머(TV·전장 등 세트용) 7.7%, 그래픽 5.1% 순이다. 

/2020년 9월 3일 동아경제 성창희 기자

Let's block ads! (Why?)




September 03, 2020 at 06:51AM
https://ift.tt/2EJC4j2

반도체, 가격하락에 재고부담까지 '이중고' - 동아경제신문

https://ift.tt/3fjC4CJ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반도체, 가격하락에 재고부담까지 '이중고' - 동아경제신문"

Post a Comment

Powered by Blogger.